주식시장에 투자하다 보면 '공포지수'로 알려진 VIX 지수와 이를 추종하는 다양한 ETF(상장지수펀드)가 자주 언급되고는 합니다. 최근에는 변동성 매매 수요 증가로 VIX 2배 레버리지 ETF인 UVIX도 크게 주목받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레버리지 상품은 매우 변동성이 큰 만큼 투자에 주의하셔야 해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VIX 지수의 기본 개념부터, VIX 추종 ETF 종류·특징·성과를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드릴게요.
VIX 지수 뜻과 추종 ETF 종류 총정리 |
VIX 지수란?
시장 심리의 온도계 'VIX 지수'
VIX(Volatility Index, 변동성 지수)란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산출·발표하는 대표 변동성 지수입니다. S&P500 지수 옵션의 가격 변동성을 이용해 향후 30일간의 내재변동성을 산출하는 방식이죠. 이 값이 높을수록 시장이 불안하며, 낮을수록 안심하는 분위기입니다.
일반적으로 VIX는 19~20 선이 '평균', 30 선을 돌파하면 시장 불안 심리가 상당히 커진 것으로 간주합니다. 2020년 팬데믹, 2008년 금융위기 때는 80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죠.
왜 '공포지수'일까?
VIX는 시장 불안과 불확실성 확대 시 치솟습니다. 그래서 언론이나 투자자들은 '공포지수(Fear Index)'라고 부릅니다. 실제로 VIX가 급등할 때 S&P500 지수는 흔히 급락하며, 투자심리도 '위기 국면'으로 전환됩니다.
VIX와 S&P500의 관계
VIX 지수는 S&P500 지수와 대체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즉, S&P500이 급락할 때 VIX는 상승하는 구조죠. VIX가 40~60까지 급등한다면 극심한 투자 불안이 지배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시장 대폭락 시기에 VIX가 두 배 이상 급등했던 최근 사례(2025년 4월)를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VIX 지수 추종 ETF 정리
UVIX ETF 1년 시세 |
VIX 지수에 직접 투자할 수 없지만, ETF/ETN(상장지수펀드/채권)을 통해 간접 투자(헤지, 단기 변동성 투기)가 가능합니다.
대표 VIX ETF/ETN 주요 라인업 및 특징
ETF/ETN명 | 티커 | 주요운용 특징/운용사 |
---|---|---|
iPath Series B S&P 500 VIX Short-Term Futures ETN | VXX | 단기 VIX 선물, 기본형(Barclays) |
ProShares VIX Short-Term Futures ETF | VIXY | 단기 VIX 선물(1~2개월), 현물 ETF |
ProShares Ultra VIX Short-Term Futures ETF | UVXY | 단기 VIX 선물 2배 레버리지 |
Volatility Shares 2x Long VIX Futures ETF | UVIX | 단기 VIX 선물 2배 레버리지, 2022년 출시 |
iPath Series B S&P 500 VIX Mid-Term Futures ETN | VXZ | 중기(4~7개월) VIX 선물 |
ProShares Short VIX Short-Term Futures ETF | SVXY | 단기 VIX 선물, 인버스(-1배) |
2025년 주요 ETF별 수익률(3~7월 기준)
-
VIXY: 2025년 3월 초 $48 → 4월 $73(약 52% 상승)
-
UVXY: 2025년 3월 초 $22 → 4월 $39(약 77% 상승)
-
UVIX: 2025년 5월 고점 $35, 7월 $17로 급락(최근 1개월 -29%, 1년간 -72% 하락)
-
SVXY: 2025년 3월 초 $48 → 4월 $36.6 하락(수익률 -24%)
각 ETF별 한줄평/차이점
-
VIXY, VXX: 단기 급등락, 변동성 플레이용
-
UVIX(NEW), UVXY: 레버리지 2배 ETF, 소위 '시장혼돈 특수' 단기 트레이딩 극대화. 장기보유는 매우 위험
-
SVXY: VIX 인버스, 시장안정기 수익/시장 변동시 적자
국내 상장 변동성 ETF/ETN
KRX 내에서는 V-KOSPI200, S&P500 변동성 연동 ETN/ETF 등 다양한 상품도 거래 중. 상품 구조와 변동성, 수수료 반드시 체크!
VIX/UVIX 투자 시 유의해야 할 점
-
최대한 단기 활용: UVIX, UVXY 같은 2배 레버리지 ETF는 하루 단위 트레이딩 외 장기보유하면 복리 손실 및 감가 큽니다.
-
롤오버·콘탱고 효과: 만기 연장·선물 괴리 현상으로 시간 경과 시 가치감가 필연.
-
상세 운용구조와 리스크: 상품마다 수수료, 복제 방식, 목표지수, 리스크 다르니 꼼꼼히 분석 필요.
-
시장 타이밍 중요: 변동성 급등기(미국 부도, 지정학 이슈 등)에만 단기 활용이 필수
결론
VIX 지수는 증시 변동성·공포 심리의 대표 지표이며, 이를 추종하는 ETF(특히 UVIX 등)는 단기 헤지·투기적 변동성 노출 전략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구조적 한계로 인해 장기 보유 시 감가가 매우 심하며, 투자 전 상품 구조·시장 상황을 충분히 점검해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시장에서도 UVIX 등 VIX ETF 관련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으니, 본인의 투자 목적·리스크 허용 범위 내에서 '현명한 변동성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