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에서 인기가 높았던 ETF(상장지수펀드) 투자 종목과 시장 트렌드를 한눈에 정리할 수 있는 포스팅을 준비했어요. KODEX 미국S&P500, TIGER 미국S&P500 등 대표 ETF가 각 연령대별로 어떤 순매수 흐름을 보였는지 공식 자료를 토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IRP 계좌를 운영하고 있거나 운영할 계획이 있으시다면 이번 포스팅을 참고해 보시길 바라요!
연금저축 퇴직연금에서 가장 인기있는 ETF 종목 TOP 10
![]() |
| 2025년 IRP ETF 순매수 상위 종목 순위 |
20대 IRP 계좌 ETF 순매수 상위 종목
2025년 1~6월 동안 20대 투자자들은 IRP 계좌에서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로 'KODEX 미국S&P500'을 꼽았습니다. 순매수액이 무려 12억 원에 달하며, 연금 ETF의 대표주자임을 증명했죠. 그 뒤를 TIGER 미국S&P500(7억)과 TIGER 미국나스닥100(6억)이 바짝 추격합니다. 20대 투자자들은 미국 대표 지수에 몰빵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실제 수익률 측면에서는 -3%대 초반의 소폭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 종목 | 순매수액 | 수익률 |
| KODEX 미국S&P500 | 12억 | -3.33% |
| TIGER 미국S&P500 | 7억 | -3.63% |
| TIGER 미국나스닥100 | 6억 | -1.59% |
| KODEX 미국나스닥100 | 5억 | -1.37% |
| ACE 미국S&P500 | 3억 | -3.68% |
또한, KODEX 미국나스닥100(5억)과 ACE 미국S&P500(3억) 역시 순매수 상위 종목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투자자들은 안전자산보다 미국 주식형 ETF에 집중하는 양상을 보여 글로벌 시장 성장에 대한 기대심리가 반영됐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0대 IRP 계좌 ETF 순매수 상위 종목
30대의 ETF 순매수는 20대와 유사하지만, 더 큰 금액이 거래되었습니다. KODEX 미국S&P500 순매수액은 190억 원, TIGER 미국S&P500이 115억, TIGER 미국나스닥100이 109억 원으로 나타나며, 월등히 큰 규모가 돋보입니다. 수익률은 각각 -3% 중반, -1%대라 일시적 변동 속에서도 투자 열기가 식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종목 | 순매수액 | 수익률 |
| KODEX 미국S&P500 | 190억 | -3.33% |
| TIGER 미국S&P500 | 115억 | -3.63% |
| TIGER 미국나스닥100 | 100억 | -1.59% |
| KODEX 미국나스닥100 | 60억 | -1.37% |
| ACE 미국S&P500 | 55억 | -3.68% |
이 연령대의 특징은 단순히 미국 S&P500에만 집중하지 않고, 나스닥100과 같은 성장주 중심 ETF도 함께 매수한다는 점입니다. IRP 계좌의 투자 다변화와 장기 자산 증식에 대한 높은 관심이 확인됩니다.
40대 IRP 계좌 ETF 순매수 상위 종목
40대의 IRP ETF 포트폴리오는 더욱 견고해졌습니다. KODEX 미국S&P500 순매수액이 314억 원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으며, TIGER 미국나스닥100(181억)과 TIGER 미국S&P500(177억)도 강세였습니다. 이밖에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104억)와 같은 채권형 ETF에도 자금이 흘러가는 양상이 특징적입니다.
| 종목 | 순매수액 | 수익률 |
| KODEX 미국S&P500 | 314억 | -3.33% |
| TIGER 미국나스닥100 | 181억 | -1.37% |
| TIGER 미국S&P500 | 177억 | -3.63% |
| KODEX 미국나스닥100 | 116억 | -1.37% |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합성) | 104억 | -1.41% |
40대 투자자들은 연금의 안전성도 챙기면서 글로벌 성장주에 대한 투자도 병행하는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IRC 계좌 내 ETF의 비중 역시 45.6%로 높으며, 수익률은 S&P500 계열이 -3%, 나스닥100 계열이 -1%대로, 중장년층답게 위험 분산을 실천하는 모습이 엿보입니다.
50대 IRP 계좌 ETF 순매수 상위 종목
50대 IRP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운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KODEX 미국S&P500(286억), TIGER 미국S&P500(200억), TIGER 미국나스닥100(158억), KODEX 미국나스닥100(115억)이 상위권을 차지합니다. 장기금융상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노후 자산을 보다 신중히 운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변동성이 낮은 ETF 비중이 큽니다.
| 종목 | 순매수액 | 수익률 |
| KODEX 미국S&P500 | 286억 | -3.33% |
| TIGER 미국S&P500 | 200억 | -3.63% |
| TIGER 미국나스닥100 | 158억 | -1.59% |
| KODEX 미국나스닥100 | 117억 | -1.37% |
| TIGER 미국바로다우존스 | 115억 | -11.07% |
특이 사항으로, TIGER 미국바로다우존스(-11.07% 수익률)도 상위에 포함되었지만 마이너스 수익률로 아쉽게 남았습니다. 50대의 ETF 비중은 37.2%로 타 연령대에 비해 약간 낮지만, 금액 자체는 가장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연령별 ETF 투자 비중과 트렌드 변화
| 2025년 IRP ETF 순매수 상위 종목 |
자료에 따르면 전 연령대 IRP 계좌 내 ETF 비중은 40% 전후의 높은 수준을 유지합니다. 30대가 49.8%로 가장 적극적이며, 20대(42.4%), 40대(45.6%), 50대(37.2%) 순입니다. 전통적으로 채권 상품 중심이었던 IRP에서도 ETF 투자 바람이 거세지고 있어, 연금 자산 관리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꾼 셈입니다.
특히, 미국 S&P500·나스닥100 지수 추종형 ETF의 인기는 압도적입니다. 경제 불확실성 속에도 글로벌 시장 성장에 대한 투자자의 믿음이 지속되고 있으며, 젊은 층일수록 공격적인 자산 배분을 보입니다.
연금저축 퇴직연금에서 가장 인기있는 ETF 종목 TOP 10
마치며
2025년 상반기 IRP 계좌 ETF 순매수 상위 종목을 분석해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KODEX 미국S&P500, TIGER 미국S&P500 등 미국 핵심 지수 ETF가 단연 강세임을 알 수 있습니다. 20~30대는 성장 가능성에, 40~50대는 안정성과 분산 투자에 무게를 둔 전략이 두드러집니다.
IRP ETF 계좌 운영시 시장 트렌드, 본인의 투자 성향을 함께 고려해 효율적인 자산 배분이 중요합니다. 노후를 위해 IRP 계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
